금융상품, 금융지식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3) : 복리채

무임금 2024. 5. 30. 13:52

2.복리채의 단가 계산
 
복리채는 채권에서 발생하는 쿠폰을 고객에게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여 만기에 지급하는 채권이다.
개념상으로는 약간 헷갈릴만한 부분이 있지만 결국에는 채권을 보유하면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만기에 1회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할인채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을 한다.
다만, 할인채의 만기시 현금흐름을 만원 단가 기준으로 10,000을 가정하였다고 한다면은 복리채는 쿠폰으로 인한 현금흐름도 추가를 해야한다.
 
KR101501DE45 국민주택1종24-04를 예로들어 계산을 진행하려고 한다. 
결제일은 2024년05월31일, 만기일은 2029년04월30일,수익률은 민평금리와 가깝게 3.600%를 가정한다.
 
첫번째로 만기의 현금흐름을 계산해야하는데, 다른 채권들과는 달리 만기일뿐 아니라 발행일까지 알고있어야 계산이 가능하다. (물론 국민주택1종 채권은 만기가 5년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굳이 발행일까지 확인할 필요는 없긴 하다.)
해당 채권의 경우 표면금리는 1.300%인데, 복리로 투자되는 수익률도 1.300%로 동일하다. 따라서 재투자되는 쿠폰들의 가치까지 합한 채권의 가격은 만원 단가를 기준으로, 10000원 * (1 + 1.300%) ^ 5이다. 계산하면 10667.1211318....인데 소수점 자리수는 모두 버린다.
따라서 만기시 현금흐름은 10667로 가정하며, 다른 과정은 할인채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연복리 연수는 4년이므로 할인계수는 1 / (1+3.600%)^4, 일단리 일수는 334일이므로 할인계수는 1 / (1 + 3.600% *334 / 365)이며, 총 할인계수는 두 할인계수를 곱하여 0.8403...이 계산된다. 만기 현금흐름에 총 할인계수를 곱하면 단가는 8964.52원으로 계산이 된다.
당연히 거래는 소수점 단위를 모두 버린 8964.0원이 기준이 된다.

채권단가계산_2.xlsx
0.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