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품, 금융지식 12

[KOFR]1.무위험지표금리가 만들어지게 된 이유와 산출방법

1.트레이딩의 기본이 되는 금리 : 과거에는 LIBOR이자율 혹은 금리를 대상으로 트레이딩 하는 상품은 상당히 많다금융상품에 대한 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이자율이기 때문이다다만, 이를 실제 투자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이자율이 대상인지 명확하게 해야한다 트레이딩을 하는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가장 기초적이며 기본적인 이자율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이다중앙은행마다 어떤것이 기준금리 인지는 다양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한국의 예를 들면 한국은행이 시중은행들에게 7일짜리 RP매도 거래에 사용하는 금리이다 다만 해당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금액은 중앙은행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매일매일 금융기관들에서 발생하는 자금유출입에 적용하기는 어렵다이러한 측면에서 금융상품의 메인거래기관인 은행들끼리 자금을 주고..

추가경정예산 - 요건, 절차, 추이

예산과 관련하여 국가재정법 및 그 하위 법령에서 확인할 수 있다.법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일반인의 시선에서 그리고 트레이딩에 필요한 정도의 상식선에서만 포스팅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국가재정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law.go.kr) 본문" data-og-description="" data-og-host="www.law.go.kr" data-og-source-url="https://www.law.go.kr/lsInfoP.do?lsiSeq=267547&efYd=20241231&ancYnChk=0#0000" data-og-url="https://www.law.go.kr/lsInfoP.do?ancYnChk=0&efYd=20241231&lsiSeq=267547#..

2025년 2월 금통위 의사록 요약

2.75%로 기준금리를 인하하였던 금통위의 의사록이 공개되었다.인하를 하였지만 시장금리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시장에 선반영되어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기자회견에서 포워드 가이던스는 2명이 3개월 내 인하에 긍정적, 4명은 3개월 내 인하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빠른 속도의 추가 인하 기대는 상당히 희석되었었다. 실제로 발표된 의사록의 내용은 생각보다 더 매파적인 것으로 보인다.추가 인하에 대해서, '1)인하효과의 양면성 2)정책여력 3)중립수준에 도달함에 따른 신중한 운용의 필요성' 이 강조되면서 인하 속도가 생각보다 느려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시장은 5월 인하에 대해서 어느정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진 것 같다.  통화정책방향 전문과 요약은 아래에..

QT가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2024년 11월, BOE발간자료 요약)

QT와 관련하여 영란은행이 분석한 자료가 있어서 요약을 하려고 한다원문은 영란은행 웹사이트에서 검색을 하거나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1.영란은행은 2022년도부터 QT를 시행해왔다.2.QE에 대한 분석은 과거 데이터가 있으므로 실증연구가 가능하다.3.하지만 QT는 과거 사례가 거의 없으므로 실증에 기반한 연구는 어려움이 많다.4.대안적인 방법으로 영국의 국채발행 surprise로 인한 금리 변동을 기반으로 민감도를 산출하여 이용하려고 한다.  5..QE와는 달리 QT는 고려해야할 금리경로가 많지 않다.6.예를 들어, signalling channel, confidence channel, liquidity channel은 QT에서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다.7.QT에서는 주로 2가지 경로를 고려해야한다..

국채선물 관련 제도 및 스프레드 거래의 동인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있는 국채선물은 4가지 종류가 있다.다만, 실질적으로 거래가 충분히 이루어지는 것은 3년 국채선물과 10년 국채선물이다. 국채선물은 상장된 이후 6개월동안 거래가 가능하며, 같은 종류의 국채선물이라면 2개만 상장이 된다.(eg. 2024년 9월 2일 현재 상장되어있는 3년 국채선물은 2024년 09월 만기물 및 2024년 12월 만기물이 있다.) 한국에서 국채선물은 실물인수도가 아닌 현금결제 방식이며, 표준화된 가상의 채권을 대상으로 한다.동시에 현물채권 시장과의 연계성을 위하여 기초자산이 되는 채권들이 존재하며, 해당 채권은 한국거래소가 지정한다.한국거래소에서 사전에 지정한 계산방식을 통하여, 선물만기일 당일 2개 금리의 평균을 이용하여 청산된다.(최종거래일 11시30분의 수익률, ..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5) : 변동금리채권(FRN)

변동금리 채권에 대한 가격 계산 방법은 기본적으로 이표채와 유사하다.다만, 발행 시점 혹은 만기 이전의 대부분의 시점에서는 현금흐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따라서 표준화 방안에서는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다만, 이 때 사용하게 될 예상되는 현금흐름은 상당히 주관적인 의미가 내포 되어있다. 기간구조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내재선도금리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으나, 다양한 만기의 채권을 발행하지 않은 발행자가 더 많으므로 내재선도금리를 산출하는 것도 쉽지는 않다. 추정컨대, 이러한 이유로 변동금리채권의 가격을 계산할 때 현금흐름을 가장 최근에 발생하였던 금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3개월마다 변동금리를 지급하는 1년만기 채권이 있고, 가장 최근에 지급한 쿠폰이 3%라면은 ..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4) : 할인채와 이표채 비교

할인채와 이표채를 계산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기때문에, 실질적인 수익률 역시 서로 다를수가 있다.여러가지 방법으로 비교가 가능하겠으나, 하나의 채권을 2개의 방법으로 가격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국고01250-2603(21-1), 수익률 3.400%, 결제일 2024.06.04로 동일하게 가정하고 계산을 하겠다.1)일반적인 이표채의 방법으로 계산한 단가는 9663.17원이다.2)할인채의 방법으로 계산 하기 위해서는 이표채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금흐름 각각을 하나의 할인채로 보고 계산을 하면 된다. 즉, 해당 채권을 기준으로 4개의 할인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적용되는 수익률은 모두 3.400%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실제 기간구조와는 다를 수 있다. 다만, YTM을 3.400%로..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3) : 이표채

사실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을 거래하다보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채권의 종류는 이표채이다.채권이 만기 이전에 주기적으로 쿠폰에 해당하는 금액이 채권 소유자에게 지급된다. 기본적인 프라이싱 방법은 모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또 다르게 보면은 각각의 현금흐름을 하나의 할인채로 볼 수 있으므로,  여러 만기의 할인채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것과도 동일하다. 다만, 실무적으로 프라이싱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일반적인 할인채의 프라이싱은 1년주기로 복리를 적용하여 가격을 구하였으나, 이표채의 경우에는 이자지급 주기가 복리를 적용하는 기간이 된다.예를 들어, 3개월마다 1번씩 쿠폰을 지급하는 이표채는 3개월이 복리를 적용하는 단위가 된다. 국고0125-2603(21-1)을 예로 들어서 계산을 해..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3) : 복리채

2.복리채의 단가 계산 복리채는 채권에서 발생하는 쿠폰을 고객에게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여 만기에 지급하는 채권이다. 개념상으로는 약간 헷갈릴만한 부분이 있지만 결국에는 채권을 보유하면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만기에 1회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할인채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을 한다. 다만, 할인채의 만기시 현금흐름을 만원 단가 기준으로 10,000을 가정하였다고 한다면은 복리채는 쿠폰으로 인한 현금흐름도 추가를 해야한다. KR101501DE45 국민주택1종24-04를 예로들어 계산을 진행하려고 한다. 결제일은 2024년05월31일, 만기일은 2029년04월30일,수익률은 민평금리와 가깝게 3.600%를 가정한다. 첫번째로 만기의 현금흐름을 계산해야하는데, 다른 채권들과는 달리 만기일뿐 아니라..

한국 금융시장에서 채권의 단가 계산(2) : 할인채

금융투자협회에서 발표한 채권단가 계산의 내용은 파일로 첨부를 하였다.필요하다면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살펴보면 될 듯 하다. 채권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 되는 것은, 역년을 사용한다는 것과 매매시에는 원 미만을 절사한다는 내용이다. 매매시 원 미만을 절사하는 것은 거래 관행과 관련된 부분이므로 계산식에서 사용되는 공통규칙은 역년사용뿐이다. 1.할인채의 단가 계산 만기일에 하나의 현금흐름만 발생하므로 계산 방식은 매우 간단하다.일단은 복리와 단리가 혼합되어 있는 형태인데 연단위 기준이다.할인채의 잔존만기가 1년을 초과하는 경우, 만기일을 기준으로 연단위로 복리로 계산을 하며그 이하인 구간에 대해서는 단리로 적용을 한다. KRC0353P2761 국고채원금00000-2706(24-4)를 예시로 계산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