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품, 금융지식

QT가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2024년 11월, BOE발간자료 요약)

무임금 2024. 11. 20. 17:04

the-yield-curve-impact-of-debt-issuance-and-the-implications-for-qt.pdf
1.43MB

 
 
QT와 관련하여 영란은행이 분석한 자료가 있어서 요약을 하려고 한다
원문은 영란은행 웹사이트에서 검색을 하거나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1.영란은행은 2022년도부터 QT를 시행해왔다.
2.QE에 대한 분석은 과거 데이터가 있으므로 실증연구가 가능하다.
3.하지만 QT는 과거 사례가 거의 없으므로 실증에 기반한 연구는 어려움이 많다.
4.대안적인 방법으로 영국의 국채발행 surprise로 인한 금리 변동을 기반으로 민감도를 산출하여 이용하려고 한다. 
 
5..QE와는 달리 QT는 고려해야할 금리경로가 많지 않다.
6.예를 들어, signalling channel, confidence channel, liquidity channel은 QT에서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다.
7.QT에서는 주로 2가지 경로를 고려해야한다. (2가지 경로를 통합하여 표현하면 portfolio balance channel.)
8.첫번째는 local supply channel이며 이는 채권 발행을 인하여 채권의 희귀도가 낮아져서 금리가 오르는 것이다.
9.두번째는 duration risk channel이며 이는 채권 투자자들이 보유해야할 듀레이션 리스크가 커지기때문에 금리가 오르는 것이다.
 
10.영국의 국채 발행 발표에 따른 고빈도 금리 데이터의 변동 및 시장에서 추가 발행분을 어떻게 소화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11.시장이 스트레스 상황 여부에 따라 효과가 다를 것으로 보고 이를 모델에 반영하였다.
12.채권 만기에 따라서도 다를 것으로 보아 만기별(단기 : 0~7년, 중기 : 7~20년, 장기 : 20년~)로 영향력이 어떻게 다른지도 모델에 반영하였다.
 


13. local supply channel은 단기와 장기에서는 컸으나 중기에서는 크지 않았다.
14. local supply channel은 스트레스 상황일때 비스트레스 상황일떄에 비하여 명확하게 크다.
15. duration risk channel도 영향이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스트레스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16. 즉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local supply channel의 중요도가 더욱 커진다.
 


17.영국의 QT(800억 파운드)를 기준으로 10년물 금리에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100bp 상승, 비스트레스 상황에서는 20bp상승의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QE와 마찬가지로 점진적으로 그 효과는 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19.패시브한 QT(만기 재투자 중단을 통한 방법)와 액티브한 QT(만기전 채권 매도를 통한 방법)간 차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20.액티브QT의 경우 어떤 만기를 매도하느냐에 따라 영향력이 다르다.
21.패시브QT보다 액티브QT가 duration risk channel로 인하여 금리 상승폭이 크지만 격차가 크지는 않다.(2bp내외)
22.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패시브QT와 액티브QT의 금리 상승폭 차이가 더욱 커진다.(7bp내외)
 


 
요약
QT는 장기물과 단기물 위주로 영향을 미치며, 시장 스트레스 여부에 따라 영향력이 다르다.
2022년 10월 QT발표로 인해 10년물 채권은 20bp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이 안정적일때는 QT방법의 차이가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